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5

콜레스테롤(cholesterol) 개선에 좋은 성분과 좋은 식품 전 세계적으로 심장병으로 인한 사망 원인의 주요 위험 요소 중 하나로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꼽을 수 있다. 콜레스테롤은 혈액 속에 존재하는 지방의 한 종류이고 우리 몸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는 심장병을 포함한 다양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음식을 좋아하고 건강을 생각하는 한 사람으로서, 건강한 식품을 선택함으로써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하고 심장 건강과 혈관에 좋은 음식을 섭취하는 방법에 대해 몇 가지 찾아본 것을 공유하고자 한다. 콜레스테롤이란? 콜레스테롤 친화적인 식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전에 콜레스테롤이 무엇이며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콜레스테롤은 우리 혈액에서 발견되고 간에서 생성되는 밀랍질 물질로 세포막을 만들고 호르.. 2023. 4. 10.
마늘(garlic)의 성분(ingredient)과 효능(efficacy), 복용법 및 주의사항 마늘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로 학명은 「allium sativum」, 생약명은 「대산(大蒜)」이라 한다. 여름에 꽃대 밑 땅속에 굵은 비늘줄기가 자란다. 이 비늘줄기가 약용과 식용으로 사용되는 마늘이다. 꽃대 높이는 60-100cm까지 자라고 속이 빈 원통형이며 잎은 녹색으로 가늘고 길다. 개화 시기는 6~7월이며, 꽃대 끝에 연보라색 꽃들이 둥근 모양의 공처럼 피어나며 열매를 맺지 않기 때문에 비늘줄기를 캐어 뒀다 봄이나 가을에 논밭에 재배한다. 채취시기는 마늘종을 채취한 후에 바로 마늘을 캘 수 있다. 줄기와 흙을 제거하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건조한다.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맵다. 예로부터 강장제로 많이 쓰였지만 잎이나 꽃줄기, 비늘줄기 등에서 독특한 냄새가 나기 때문에 조미료나 반찬으로.. 2023. 4. 9.
양파(Onion)의 성분, 효능, 복용법 및 다양한 양파 요리 양파는 영어명은 「onion」, 학명은 「Allium cepa」인 외떡잎식물 백합과의 두해살이 풀로 개화 시기는 9월이며, 꽃줄기는 원기둥 모양으로 높이는 50~ 100cm까지 자란다. 땅속의 공 모양의 덩이로 된 비늘줄기를 식용으로 하는 채소로 매운맛과 특이한 향이 있다. 채취 시기는 6~7월 잎이 녹색을 띠며 옆으로 눕기 시작할 때 채취한다. 서아시아 또는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로 추측하지만 이는 정확하진 않다. 기원전 수천 년 전부터 양파를 먹었다는 고대 이집트의 벽화가 있을 정도로 재배 역사는 아주 오래되었다. 우리나라에는 19세기말 조선조 후기에 일본과 미국에서 유입되어 지금까지 재배되고 있다. 양파는 다양한 종류와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수많은 품종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양파 품종으로.. 2023. 4. 8.
당뇨(diabetes)에 좋은 음식(good food), 건강한 식습관 당뇨 관리를 위한 당뇨에 좋은 음식, 건강한 식습관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 보기전에 우선 당뇨에 대해 잠깐 알고 가자. 우리 몸이 활동하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러한 에너지를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영양소가 바로 포도당이다. 음식물을 섭취하면 소화가 되어 포도당으로 변하는데 혈액 속에서 혈당을 적절히 조절해 주는 것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다. 혈당조절에 좋은 약차 바로가기 당뇨병은 췌장이 인슐린을 제대로 공급해 주지 못하면 발생하는 병이다. 당뇨는 식사 후 혈액속 당의 함량이 높은 상태인데도 세포가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하여 포도당을 흡수할 수 없어 소변에 당이 섞여 나오는 증상을 당뇨라 한다. 이 경우 당을 제대로 에너지로 이용하지 못해 체중이 줄어든다. 이런 당뇨를 인슐린 의존형 당뇨, 유아.. 2023. 4. 7.
감초(甘草)의 성분 효능 복용법 및 주의사항(차, 진액) 신비하지만 희귀하지는 않은 약초 감초. 생약명 감초는 콩과 감초속 다년생 초본 식물이다. 감초의 학명은 「Glycyrrhiza uralensis fisch」로 식물의 뿌리와 뿌리줄기를 약용으로 사용한다. 중국 북부지방, 러시아가 원산지이며 우랄감초가 단맛이 많고 품질이 뛰어나다. 한국, 중국, 일본외 아시아, 유럽 등 분포하지만 유럽에서는 약용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선 재배도 많이 한다. 감초의 뿌리와 뿌리줄기는 굵고 껍질은 적갈색을 띤다. 뿌리는 땅속 깊이까지 뻗고 높이는 80~100cm까지 자란다. 개화기는 7~8월로 보라색의 꽃이 피고 결실기는 8~9월로 열매는 굽은 모양의 꼬투리 속에 6~8개의 씨가 들어있다. 우리나라의 북부, 중부 지방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채취 시기는 봄과 가을에.. 2023. 4. 6.
오미자(五味子) 성분, 효능 및 복용법(차, 술, 청) 생약명 오미자는 목련과 낙엽목질덩굴 식물인 오미자 나무의 열매다. 쓰고, 달고, 짜고, 맵고, 신맛 등 5가지 맛이 난다고 하여 오미자라 불린다. 학명은 「Schisandra chinensis」로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우리나라는 전국에서 볼 수 있는데, 특히 북부와 중부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종류에는 오미자(북오미자), 남오미자, 흑오미자 등이 있다. 오미자는 주로 북부와 중부일대에 많이 자라고 남오미자는 남부 섬지방, 흑오미자는 제주도에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계란모양 타원형으로 개화기는 5~6월 결실기는 8~9월 이다. 열매는 지름 약 1cm 정도 자홍색으로 포도송이처럼 열린다. 채취 시기는 8~10월 하순에 열매가 자홍색을 띨때 채취하여 해볕이나 음지에서 말린다. .. 2023. 4. 6.
민들레(포공영) 성분, 효능, 차, 복용법 및 주의사항 민들레는 쌍떡잎식물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이다. 학명은 「Taraxacum platycarpum」으로 생약명은 포공영(蒲公英)이라 한다. 포공영은 민들레가 씨앗이 매우 가벼워서 바람에 날려 다니며 퍼져나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유럽과 아시아가 원산지이지만 전 세계에서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선 들판, 산비탈, 길가, 강가 모래땅, 논두렁 같은 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라며, 줄기는 없고, 잎이 뿌리에서 뭉쳐나며 옆으로 퍼진다. 높이는 10~25cm이고, 지름이 약 15~30cm 정도이다. 잎의 가장자리가 톱니처럼 되어있고 털이 약간 있다. 개화 시기는 4~5월이며 하나의 꽃대에 노란색의 꽃이 피고, 결실기는 6~7월이다. 우리나라 토종 민들레는 흰색의 꽃이 핀다. 채취 시기는 4~5월 꽃.. 2023. 4. 5.
산수유 성분 및 효능, 복용법(차, 술, 합방차) 생약명 산수유는 층층나무과의 낙엽관목인 산수유나무의 열매이다. 학명은 「cornus officinalis」로 한국, 일본, 중국이 원산지로 우리나라에는 중부 이남지역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개화기는 3~4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열매는 처음엔 녹색이었다가 9~10월에 붉게 익는다. 산수유나무의 열매를 약용으로 사용하는데, 모양은 타원형으로 단맛과 함께 떫고 강한 신맛이 난다. 씨앗에는 독성이 있어 껍질이 붉은색으로 변할 때 채취하여 끓인 물에 살짝 데친 후 열매에서 씨앗을 제거하여 건조시킨다. 건조된 산수유 열매는 한약재 및 차와 담금주의 재료로 사용되며, 공진단에 들어갈 만큼 그 효능은 크다 하겠다.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맛은 시고 떫으며 독이 없다. 어성초(漁腥草) 약모밀, 성분, 효능 및 복.. 2023. 4. 4.
반응형